본문 바로가기
Project/DRSSTC

SSTC driving using slidac

by No Brainer 2022. 2. 7.

한동안 슬라이닥스와 접지문제로 골머리를 앓느라 작업 진행에 진전이 없었는데 오늘에야 해결했습니다.

 

 

일단 평소 이용하던 피드백 궤환을 사용하는 드라이버 회로가 아닌 이번에 만든 74HC4046회로를 구동회로로 이용했습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4046 소자가 굉장히 입력전압 민감하네요..저번에 만든 미니전원장치 출력이 9V가량 되니 드라이버 회로에 직결해도 큰 문제는 없으리라 생각했는데 소자가 죽어버렸습니다. 이런저런 문제로 4046을 너무 많이 낭비하네요..

아무래도 회로 자체에 정전압회로를 꾸며야할듯합니다.

 

 


메인전원은 단순히 슬라이닥스전원을 브릿지정류한 후 평활콘덴서를 거쳐 출력됩니다.

 


슬라이닥스의 외함접지는 없애버렸고 드라이버부 전원도 접지를 잡지 않습니다. 즉 모든회로에 접지가 잡혀있지 않습니다.

그때문인지 공진주파수가 굉장히 불안정하고 HFSSTC임에도 불구, 60헤르츠 험을 비롯한 잡음이 굉장이 많이 껴 시끄러운 스트리머가 발생합니다. 험이 어디서 유입되는지 찾아 이를 해결하는게 시급하네요




40V가량 입력해보니 꽤 볼만한 스트리머가 튑니다.

 

사실 테슬라코일 입문이 SRSSTC여서 그런지 몰라도 공진주파수를 잡아내기가 매우 힘듭니다.

Q factor 가 굉장히 큰지 공진점 주변에서의 출력편차가 너무 심하고

점프를 많이 띄운탓인지 부유용량이 크게 생겨 회로 주변의 인체나 물체에 의해 영향을 너무 많이 받습니다.

공진주파수 조절을 위한 정밀트리머를 돌리려 드라이버를 가져다대면 이또한 영향을 끼치기에 최대공진을 잡아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게다가 공진주파수 자체도 일전에 실험했을때와 많이 바뀐듯 하여 class-e 부분과 1차 코일또한 매칭이 잘 되지 않은듯합니다.

FET하나를 중형방열판으로 방열해주는데도 발열이 심각하네요

 

그래도 슬라이닥스의 작동을 확인한 의의가 크니 만족스럽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