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ject47

[무선전력전송]Self tunning double resonant wireless power transfer 오랜만에 글을 쓰네용 학교다니면서 학부 공부도 좀 하고 개인프로젝트도 하고 하다보니 여유가 좀 없었던것 같습니다. 요번년도에 진행한 프로젝트중 가시적 성과(수상이라던가;)는 없었지만 개인적으론 만족스러웠던 걸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옛날에 DRSSTC나 전력전송회로같은 이중공진기를 설계 할 때 항상 아쉬웠던 점이 발진주파수가 일차LC회로의 공진주파수 혹은 이차LC회로의 공진주파수 하나에만 fixed된다는 것이었습니다. 우선, 테슬라코일을 예로 들어보면, 일반적인 피드백형 테슬라코일은 2차코일의 공진신호를 회로 후미로 되물림하는 방식으로 구동됩니다. 이차 LC회로의 공진주파에서 FIXED되는 경우입니다. 1차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키우고자 , 1차 회로의 리액턴스를 제거하기 위해 공진회로를 꾸미게 되고 이게 .. 2022. 2. 19.
아두이노 프로젝트- Tesla coil interrupter interface /* * 핀배열 * 적외선센서 출력 - A0 * 서보모터 데이터 -7 * 초음파 출력(trig)-5 * 초음파 입력(echo)-4 * 감지여부 확인 출력-6 * 블루투스 tx핀 - 2 * 블루투스 rx핀 - 3 */ //공격용 인터럽트 관련 int cwThresh = 1020; // Sets CW Mode threshold (cwThresh/1023 *5)= Volts. int minFreq = 2; // Minimum Frequency in Hz. int fDiv = 2; // Frequency range divider. maxFreq = fDiv/1024. int vpw; int vbps; int ontime; int offtime; int period; int freq; float duty; int.. 2022. 2. 19.
200V 입력 음악변조실험 슬라이닥스와 아이솔레이션 변압기를 통해 하프브릿지 인버터에 직류 300V정도를 입력해보았습니다. 사실은, MMC를 제거한 후 2차코일 전류를 피드백하였으므로 DRSSTC가 아닙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IRFP460을 DRSSTC에 적용할 경우 매우 높은 확률로 소자가 소손될것이고, 그렇다고 하여 IGBT모듈을 이용하기에는 2차코일 공진주파수가 너무 높습니다. 해서, DRSSTC1 프로젝트는 미완으로 남겨두고 테슬라코일을 제어할 소프트웨어에 좀더 신경을 쓰려 합니다. 수 개월 내에 새로운코일을 감고 좀더 여건이 정비되면 그때 다시 도전해볼 것이며, 우선은 polyphonic MIDI 인터럽터를 위한 코드 수정과 무선제어에 집중하고 여유가 생긴다면 QCW에 관한 공부를 해 관련 기능도 추가할 예정입니다. .. 2022. 2. 18.
DRSSTC1- 시험 구동 및 음악변조(musical DRSSTC) https://blog.naver.com/dongjungim20/221322849580 제작에 있어 여러 애로사항들이 많아 진행에 차질을 빚었었습니다. 납땜불량으로 인해 접촉불량이 나서 시간도 엄청 허비하고.. 거의 한달동안 진전이 없었네요 =ㅅ= 지금은 어느정도 해결되었기에 이제서야 시험구동을 해보았습니다. 테스트 도중. 구형CT 1:40정도의 변류비를 가집니다. 이것을 사용했을때, 투입전력이 커지면 클램프회로에 부담이 가는지 드라이버회로에서 소비하는 전력이 갑작스레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했습니다. CT2.. 대략 1:1000의 변류비를 가지고 이를 이용할 시, 이상동작현상이 대부분 해결되었습니다. DRSSTC회로 전체. 사용한 드라이버회로에서 한가지 불편한 점이 있는데 처음 스타트가 잘 걸리지 않을때가.. 2022. 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