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아마추어 자작인들이 전자관련 공작을 할 때 흔히들 만능기판을 이용합니다.
요즘은 발주를 넣거나, 에칭을 직접 해서 PCB를 직접 뜨는 분도 많아지는듯 하지만, 그래도 범용성과 경제성 등 많은 장점을 가진 만능기판이 자작인들 사이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될거라 생각합니다.
-만능기판에 구성한 회로-
하지만 만능기판의 회로배선 작업은 순수 납땜과 주석선등의 리드선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작업이 잘못되는 경우가 종종 있기도 하죠. 저또한 워낙 덜렁거리는 탓에 뭘 만들고 나서 한번에 성공한적이 거의 없었던듯 합니다.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전원을 넣어보고 빡치는 단계가 필수적이죠..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반도체가 고장나지 않았는지 점검해보고(저항등의 수동소자가 고장나는 일은 매우 드물것입니다)
다시 기판을 뒤집어 납땜을 점검해야 합니다.
사실 뭐 수정하는 작업 자체는 어려울것이 없습니다.
납흡입하고 부품을 빼서 배선을 바꾸고 각이 안나오면 점프를 띄워주고 뭐 이런 지루한것들이죠
하지만 땜질이 된 뒷판에서 내가 원하는 부품이 어디있는지 찾기가 여간 애매한게 아닙니다.
특히 땜질상황이 총체적 난국으로 수정할 부분이 많으면 가슴에 화가 쌓입니다.
기판 앞면에서 분명 콘덴서 위치를 확인하고 뒤집어서 인두기로 지질 준비를 하면 어디있는지 까먹습니다.
좌우가 바뀌니 더 햇갈리죠
뭐 애초에 도면을 그리고 작업하면 크게 문제되지 않을수도 있겠으나 저는 그리지 않고 즉흥적으로 구성하는 타입이라(물론 납땜할 패턴도는 그려놓지만 기판의 홀과 부품크기를 고려한 배치까지는 생각하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이런 애로사항을 많이 겪습니다.
뭐 그래도 그동안은 꾸역꾸역 뒤집으며 납땜을 해왔으나, 며칠전에 한 회로를 만들었는데 이건 뭐 졸면서 만들었는지
갈아 엎어야할 수준입니다. 그래도 박아넣은 부품들이 아까워 소생시켜보려 했으나 도저히 뒤집어서 고칠 엄두가 안났습니다.
그래서 잔머리를 굴려 생각해낸것이 아래 말할것인데요 도움될 분이 있을까싶어 글을 써봅니다..
우선 기판 앞면 사진을 핸드폰으로 찍습니다.
딱 회로를 짠 크기만큼만 찍고 쓸대없는 부분(아무것도 없는)은 적게 나오게 찍는게 좋습니다.
뒷판도 마찬가지로 찍어줍니다.
그리고 앞서 찍은 앞판사진을 좌우반전해줍니다.
웬만한 스마트폰에서 '편집'에 들어가면 해당기능이 있을듯 합니다.
그리고 이걸 겹칠 어플이 필요한데, 저는 '최고의 사진 믹서'를 이용했습니다.
이건 뭐 홍보해주는 격인데 저는 이 앱과 어떠한 관계도 없습니다. 있었으면 좋겠네요
어플에 들어가면 버튼들이 직관적으로 생겼기때문에 사용법을 익히기는 쉽습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겹쳐질사진(배경사진)에 겹칠사진을 겹치고 투명도를 잘 조절하면 됩니다.
배선과 위의 부품이 상응하도록 정교하게 겹치는것이 중요한데, IC가 있으면 IC다리를 기준으로 겹치면 훨씬 수월합니다.
이 비슷한 앱을 찾아봤으나 안드로이드마켓에는 이거밖엔 없는것같습니다.
해당 어플은 두 사진을 반투명하게 겹쳐주는 기능을 합니다.
본래 목적은 저처럼 기능적인 용도로 활용하는게 아닌, 자기가 찍은 사진을 이뻐보이게 할 용도인지라 겹치는 사진이 전반적으로 반투명하게 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이뤄집니다. 이건 아래 조절기능을 하는 하얀색 막대를 이리저리 움직여보며 이상적인 모습이 나오게 조절하면 어느정도 볼만하게 됩니다.
결과물. 윗판의 부품들은 크기가 큰 입체라 이렇게 겹쳐놓고 보면 어느정도 왜곡이 있습니다.
전해콘덴서를 보면 땜질자리가 전해콘덴서의 가운데라인에 있지않은것처럼요.
하지만 어느정도 배선과 부품을 직관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작업이 수월해집니다.
워터마크도 굉장히 가시적으로 존재감을 표출합니다.
사실 어플 이름은 언급하지 않으려다 사진에 쓰여있어 그냥 썼습니다..
모쪼록 도움이 되는 내용이길 바랍니다
'Electronic > Ana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LM2576 ADJ 기반의 정전압회로(DC-DC컨버터) (0) | 2022.02.08 |
---|---|
NE555를 만들어보자 (0) | 2022.02.08 |
Boost converter in '수능특강' (0) | 2022.02.08 |
다목적 발진회로 제작 (0) | 2022.02.07 |
LM2576 기반 정전압레귤레이터 회로 (0) | 2022.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