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부터 4MHZ HFSSTC제작을 본격적으로 시작할것같은데 오늘 몇가지 필요한 준비작업을 했습니다
일전에 제작한 74hc4046 기반의 PLL발진회로입니다.
일반적인 CD4046과는 다르게 입력전압이 7V정도가 최대더군요..
4046이 PLL방식의 SSTC에서 상당히 대중적인 IC라 구글에서 쉽게 볼수 있는데요, 보통 CD4046을 이용한 회로고 때문에 입력전압이 12V라 나와있기에 아무 생각없이 7414에도 이 전원을 입력하면 IC가 파열됩니다..
CD4046은 CMOS칩이고 74HC4046은 TTL칩이기에 이러한 차이가 발생합니다.
같은 TTL계열의 7400,7414,74132등도 모두 전원을 5V로 사용하기에 불편하더라도 5V정전압원을 꾸며줘야합니다.
평소에는 그냥 브레드보드에 구성하고 실험했었는데 실험할때마다 번거롭기도 하고 정전압원 꾸미는것을 잊을 위험도 있고 하여 기판 남는 공간에 7805회로를 넣어주었습니다..
제작할 공진기의 공진주파수가 4MHZ일것이기에 이를 드라이빙할 발진기는 그와 동일한 고정주파수원이어야 합니다.
커패시터에 331짜리를 넣어주고 다회전트리머를 돌리며 4MHZ일때의 저항값을 찾으니 그 값이 4.XX킬로옴이였습니다.
해서 2K옴 근방의 저항 2개를 직렬로 연결해 주고, 보조트리머를 돌려 값을 맞추니 꽤 정확하게 원하는 주파수가 출력됩니다.
4.00MHZ 구형파
저번에 오실로스코프를 중고나라에서 싸게 구입했는데 아날로그 대역폭이 40MHZ입니다.
이정도면 고주파원도 넉넉히 측정하겠거니 했는데, 실상 4,5메가 헤르츠가 한계일것같네요..
6MZ까진 되었으면 했는데 아쉬운대로 분주회로를 꾸미거나 해야겠습니다.
회로에 들어갈 게이트 드라이버 트랜스포머 2개입니다..
아마 내일 실험하면서 권선비를 바꿀 필요가 있을듯합니다.
4메가헤르츠에서 구동안정성을 확인하기위해 간단히 테스트해보기로 했습니다.
첫번째 CLASS E 신호증폭부와 전력측 IRFP460을 커플링해주는 GDT2입니다.
코어는 2개를 겹쳐썼습니다.
생각한것보다 안정적이고 깔끔하게 출력되어 꽤나 놀라웠습니다.
일전에 시험삼아 만들어본 GDT는 역기전력이 굉장히 커 링잉도 많이 발생하고 불안정해서 다 그런가보다 했는데 좀 정성들여 감으면 훨씬 결과가 좋네요
4MHZ신호원과 신호증폭부를 커플링할 GDT1입니다. 그냥 코어 1개에 에나멜선으로만 감았네요
음 기전력과 링잉이 좀 발생하고 GDT2보단 좀 어수선하네요,,
내일 실험해보고 좀 개조하던지 해야겠습니다.
요녀석은 LM2576기반의 DC-DC 가변전압 컨버터입니다. 이전에 도면만 올린적이 있죠..
테슬라코일 드라이버 회로에 15V를 입력할 필요가 있더군요. 일단 파워서플라이는 해당 전압을 지원하지 않을뿐더러 접지문제로 사용이 불가능하고 가지고있는 아답터사양이 10V,12V,18V짜리라 맞는게 없어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12V를 넣어도 될것같긴하나 첫 제작시에는 최대한 설계대로 만드는게 바람직할것같아 좀 무리하게 만들었습니다.
사실 얘는 다만들고 나서 잘 작동하는가 싶더니 5번핀과 스위치를 좀 손보고 테스트하던중에 갑자기 고장났습니다;;
뭐가 문제인지 알수조차 없네요. 일단 칩은 제거했는데 재고가 저기에 들어간 1개뿐이라 완성은 좀 늦어질듯 싶습니다.
수리하면 도면과 같이 포스팅하도록 하죠..
내일 실험에는 일단 급한대로 12V전원을 사용하거나 7805 3세트를 직렬해서 써야겠네요
'Project > HFSS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4MHZ급 고주파 테슬라코일 제작기-3: 4MHZ 소스의 선택 (0) | 2022.02.08 |
---|---|
테슬라코일에의 CLASS-E 전력증폭기의 적용과 이론 (0) | 2022.02.08 |
4MHZ급 고주파 테슬라코일 제작기-2:코일감기 및 2차코일 공진주파수 측정 (0) | 2022.02.08 |
4MHZ급 고주파 테슬라코일 제작기-1:소개 (0) | 2022.02.08 |
CLASS-E HFSSTC의 매칭(matching) (0) | 2022.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