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SSTC의 경우 primary코일 역시 직렬공진회로에 포함되므로 공급전압보다 전압이득을 본 상태에서 구동되게 됩니다.
이런경우 스위칭소자를 거의 구동 한계점까지 밀어붙이는 작동이 될 수 있으므로 DRSSTC 그 자체가 소자에 무리가 갈 수 있는 구성일 수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인터럽트 신호의 듀티사이클이 너무 커지게 되면 소자가 파열될 위험이 있죠.
단순한 인터럽터 발생장치와 달리 PWM변조를 통해 음악을 연주해내는 뮤지컬 테슬라코일의 경우,여러 음계가 겹치는등의 상황에서 듀티사이클이 매순간 변화하기때문에 제작자가 듀티사이클의 한계를 첨예하게 설정할 수 없습니다.
처음에는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위해 테슬라코일 인터럽터 입력단자 직전에 DC차단회로와 고주파 차단회로를 넣어서 설계했으나 전자의 달인님이 더욱 간단하고 성능이 뛰어난 장치를 새로이 소개해 주셨는데 duty cycle limiter가 그것입니다.
사용한 회로도로서, 전자의 달인님이 소개해준 회로 그대로 이용했습니다.
이 회로를 실험하기 위해선 듀티사이클을 조절할 수 있는 회로가 필요한데 아래 몇가지를 소개해놓았습니다.
일반적인 NE555 1개로 이루어진 회로의 경우도 PWM을 조절할 수 있으나 주파수와 듀티사이클을 별개로 제어할 수는 없다고 합니다.
널리 이용되는 PWM control 로직인 TL494를 이용한 회로입니다. 위 회로에서 9번 10번 핀만 따오면 되고 원하는 동작에 맞추어 가변저항값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저같은경우 만년전에 만들어놓은 TL494 모듈을 이용하기로 했습니다.
어릴때 만들어놓은거라 배치를 이상하게 해서 사용하기 좀 불편하긴 하지만 잘 작동하긴 합니다.
브레드보드에 올린 duty cycle limiter회로
위쪽이 리미터를 거친 파형이고 아래가 리미터 입력 파형입니다.
'Project > DRSS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DRSSTC1-전력부 드라이빙 회로 설계 및 실험 (0) | 2022.02.08 |
---|---|
DRSSTC 1- 미디 인터럽터(MIDI interrupter) 박스 제작 (0) | 2022.02.08 |
DRSSTC프로젝트 시작 (0) | 2022.02.08 |
직렬공진회로에서 전압상승과 테슬라코일에의 적용 (0) | 2022.02.08 |
프로토타입 테슬라코일의 구동모습 (0) | 2022.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