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차코일의 공진주파수는 코일의 높이나 주변 배치상황에 따라 미세하게 변화하기때문에 DRSSTC제작을 위해 2차코일의 공진주파수를 측정해야할때에는 주변구성을 다 해놓은 상태에서 측정을 하는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였기에, 1차공진회로를 설계하기전 케이스를 제작하고 구성을 해놓았습니다.
현재는 IRFP460 2개를 이용한 하프브릿지로 전력부를 구성해놓았는데 여력이 된다면 IGBT를 이용한 풀브릿지까지 단계를 올려보고싶습니다.
'Project > DRSS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various DRSSTC driver circuit (0) | 2022.02.16 |
---|---|
DRSSTC1제작기-1차공진회로 시험과 위상앞섬(phase lead) (0) | 2022.02.16 |
MIDI회로 및 광통신 회로 제작 (0) | 2022.02.16 |
ISSTC 최대출력 테스트 (0) | 2022.02.16 |
[DRSSTC1 ]제작한 2차코일의 단속파 변조시험 (0) | 2022.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