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ject/DRSSTC

DRSSTC1- 시험 구동 및 음악변조(musical DRSSTC)

by No Brainer 2022. 2. 16.

https://blog.naver.com/dongjungim20/221322849580

 

제작에 있어 여러 애로사항들이 많아 진행에 차질을 빚었었습니다. 납땜불량으로 인해 접촉불량이 나서 시간도 엄청 허비하고.. 거의 한달동안 진전이 없었네요 =ㅅ=

 

지금은 어느정도 해결되었기에 이제서야 시험구동을 해보았습니다.

 

 


테스트 도중.


구형CT

1:40정도의 변류비를 가집니다.

이것을 사용했을때, 투입전력이 커지면 클램프회로에 부담이 가는지 드라이버회로에서 소비하는 전력이 갑작스레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했습니다.


CT2..

대략 1:1000의 변류비를 가지고 이를 이용할 시, 이상동작현상이 대부분 해결되었습니다.


DRSSTC회로 전체.

사용한 드라이버회로에서 한가지 불편한 점이 있는데 처음 스타트가 잘 걸리지 않을때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럴 경우, 200KHZ정도를 출력하는 구형파발생기를 피드백단자에 접촉시켜 시동을 걸어주고 있습니다.

슈밋 트리거 기반의 드라이버회로의 한계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해결책으로는, PLL을 도입하던가 하면 될듯 싶습니다.


1차코일 및 2차코일

인터럽트신호를 전달해줄 쉴드선.

일반 랜선을 호일로 덮어 차폐벽을 만든 후 이를 접지했습니다.

차후 블루투스등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개선할 예정입니다.

MIDI인터럽터.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MIDI신호를 인터럽트 음원신호로 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실질적으로 DRSSTC전체를 제어합니다.

혹시 모를 서지(surge)의 영향을 막기 위해 자작 포토커플러를 이용했습니다.

 컴퓨터 및 아두이노 미디 인터럽터와 DRSSTC회로와 전기적으로 절연됩니다.

static load test.

어느정도 동작이 안정화되었습니다.

 

인버터 출력전압 파형 및 전류파형을 비교하여 보면 , 이전과 비교하여 zcs에 좀더 가까워진 파형을 보입니다.

때문에 전압파형에서 볼수 있는 '치솟는 링잉'도 어느정도 줄어든 모습을 보입니다.

다만 phase lead를 적용하지 않았기에 어느정도 잔여하는 링잉이 있고, 여전히 소자에 치명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음악변조실험.

 

 

60v를 조금 밑도는 전압에서 실험했습니다.

 1차코일또한 공진하는 상태이고,인터럽트신호의 PWM이 이전과 비교하여 높기에 전류치는 상당히 높아보입니다.

다만 1차코일의 주파수와 2차코일의 주파수가 상당히 어긋나있어 스트리머가 길게 뻗지 않습니다.

1차공진회로를 넣지 않았을때와 비교해도 현저히 스트리머 길이가 짧습니다.

 

공진점을 맞추는것이 또하나의 고비가 될 듯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