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HFSSTC18 4MHZ급 고주파 테슬라코일 제작기-5:완성 및 버스전압 40v구동 요번에 만든 4MHZ급 모스펫 드라이버와 신호발생기, 어제감은 코일과 GDT를 가지고 HFSSTC구동을 진행해보았습니다. 1차코일은 프로토타입 테슬라코일의 피드백안테나를 사용했고 FET은 16N50을 이용했습니다. 발진회로와 모스펫드라이버 회로의 전원은 LM2576-ADT로 12V를 줍니다. 모스펫 드라이버 회로가 전력을 얼마나 뽑아먹는지는 모르겠으나 어느정도 잘 되긴 합니다. 전체적인 구성모습. 예로부터 전원장치는 PC의 12V만 사용해오던터라 높은 전압의 전원을 이용하는것에 대해 뭔지모를 두려움을 가지고있습니다. 다 연결해놓고도 괜히 무서워서 몇분동안 망설이고있었네요;; 회로부분 결선모습. 전력부는 슬라이닥스와 연결되어있기때문에 오실로스코프 두 채널에서 얻어지는 파형의 벡터를 빼는 방식으로 드레인파형.. 2022. 2. 10. 4MHZ용 모스펫드라이버 회로 ver 2 및 기타 통계보기 어제 오늘 작업해 만든 모스펫드라이버회로입니다. 저번에 만든것이 있긴 한데, 딴에는 여러 주파수에서 사용할수 있게 한다고 단자대를 우겨넣다보니 보기도 이상하고 시정값을 잘못맞춰 모스펫이 파열되 교체하고 하느라 잘 안쓰게 되네요.. 지금 생각해보니, 주파수를 바꾸려면 회로 전반에 거쳐 임피던스매칭이나 게이트 튜딩을 다 다시 해줘야하니 어짜피 무의미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시간날때 수리해 쓰던가 부품을 추출해야겠습니다. 이번에 만든놈은 아예 4 mhz 고정주파수용으로 만들어놓았습니다. 지금 DRSSTC랑 HFSSTC랑 같이 작업하고 있는데 아무래도 HFSSTC는 실험이 많이 필요하고 튜닝이 잘 어긋나다보니 하기 싫네요ㅋㅋ 여튼 둘다 2,3주 안으로 케이싱까지 해서 완성하는게 목표입니다. 작동모습. 피.. 2022. 2. 10. 4MHZ급 고주파 테슬라코일 제작기-4: 회로 구성 및 시험 운행 비교적 오랜만의 포스팅같은데요, 필요한 부품을 ic114에서 주문하고 잠시 휴식을 했습니다. 뭐든 쉬지않고 계속 하다보면 머리가 맑지 않고 일이 잘 풀리지 않는것같기에 눈건강 등을 위해서라도 작업 중간중간에 쉬는시간을 가지는게 좋을것같습니다. 우선..오늘 주문한 부품이 도착했기에 몇가지 필요한 부분을 테스트해봤습니다. 전에 게시한, 컨버터를 이용한 오실로스코프와 슬라이닥스 겸용문제 해결은..실패한듯합니다. 모스펫은 BJT와 달리 병렬연결을 할 수 있기에 FQP11N402개를 병렬하여 ZVS회로를 아래와 같이 다시 구성해봤습니다. 이렇게 만든 모스펫모듈의 C-E간 저항값은 반토막나고 최대전류치는 2배가 되는 23정도가 됩니다. 하지만 이상하게 슬라이닥스 전원공급이 30V정도를 넘으면 소자가 파열되는것같습니.. 2022. 2. 8. class-e회로의 맹점과 슬라이닥스,오실로스코프 겸용 문제의 해결방안 모색 사실 며칠전부터 IRFP460의 CLASS -E 회로의 매칭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골머리를 앓아오던차였다. 매칭이 잘 되지도 않을뿐더러, 참고한 자료에 나온 시정값으로 만들면 작동이 불가능한 수준까지 효율저감이 일어나곤 했었다. 에디슨의 정신을 가지고 게이트트랜스포머를 여러번 다시 감아도 봤으며 콘덴서와 코일의 시정값을 무수히 바꿔꼈으나 잘 되지 않았다. 이러던 차에 지난 번에 쓴 CLASS E 의 이론을 다룬 포스팅(https://blog.naver.com/dongjungim20/221193721191)을 퇴고해볼까 하여 다시 읽어보던중, 어떤 부분을 읽으며 돌파구를 찾을수 있었다. 바로 '더하여 입력전력이 증가함에따라 스트리머가 커지고 이에 따른 감쇄율이 증가한다는 것은 유의할 필요가 있다. 입력전력.. 2022. 2. 8.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