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ject47

휴대폰의 차폐 대책 테슬라코일 주변의 전자기장에 의해 주변의 쇠붙이에 고전압이 유도되게 된다. 실제로 쇠그물망이나 호일을 테슬라코일주변에 놓고 다른 쇠붙이를 접촉만 해도 상당 길이의 아크가 튈 정도이다. 이렇게 유도되는 고전압은 전자기기 내부 회로에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주위에서 사용을 금하거나, 차폐가 필수적이다. 나같은경우 사진을 찍을 장치가 전무하여 휴대폰을 이용해야하는데, TC근처에서 자꾸 오작동을 일으키고 또 고장이 날까 걱정이 되어 간단하게 호일로 차폐를 해보았다. 휴대폰 전체를 감싸는게 최선이겠으나, 일단은 뒷면에만 호일을 감싸고 핸드폰으로 사진을 찍을때 호일과 인체를 접지해 전하가 빠져나갈 수 있게 해주어야한다. 사용해보니 어느정도 효과가 있어 코로나방전을 접사모드로 찍을 수 있을정도가 되었다. 테슬라코일 곁.. 2022. 2. 7.
CLASS-E HFSSTC의 매칭(matching) 일반적으로 HFSSTC는 메가 헤르츠 단위의 고주파로 테슬라코일의 동작을 구현해야하기에, 여타 테슬라코일의 구성과는 다소 차이가 있기 마련이다. 이러한 구성은 고주파에서 스위칭하게 될 때 발생하는 회로간의 임피던스매칭이나,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반도체의 스위칭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 예로서 진공관이나 RF전용 소자로 구현하는 테슬라코일이 있겠다. 하지만 이런 특수한 케이스에 사용되는 부속들은 수요가 적기 마련이고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일반적인 반도체의 단점을 보완하며 SSTC의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CLASS-E 회로를 적용한 테슬라코일이 HFSSTC의 제작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사실 고주파 테슬라코일이 아니더라도 sinlge FET방식의 SSTC회로또한 대부분 CLASS E의 구성을 차.. 2022. 2. 7.
SSTC회로작업 및 중간 테스트 브레드 보드에서 실험한 테슬라코일의 주요부분을 만능기판위에 옮겨보았습니다. 처음 설계할때 IC소켓을 넣지 않고 회로 설계 자체를 아예 잘못한 부분이 많아 오늘 수정하면서 굉장히 많은 점프가 생겼습니다.. 해결해야할 부분이 있긴 하지만 일단 정상작동하긴합니다. 납을 녹여 IC를 뽑아 내려 했으나 잘 되지 않아 니퍼로 그냥 다리를 잘라버리고 소켓을 다른 자리에 끼웠습니다. 그바람에 7414하고 전원안정용 콘덴서가 너무 가까이 있어 소켓에 IC가 딱 들어가지 않네요.. 시간나면 콘덴서를 옮기던가 해야겠습니다. 값싼 페놀기판은 구리부분이 쉽게 떼어져 수정할때 굉장히 취약한듯하네요. 현재 전원장치가 마땅치 않아 전력은 파워서플라이의 12V선을 이용했습니다. 브레드보드에 구성했을때보다 피드백 궤환도 훨씬 수월하게 .. 2022. 2. 7.
오실로스코프 없이 테슬라코일의 공진주파수 측정하기 해당 방식은 오실로스코프는 필요치 않으나 주파수카운터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SSTC를 제작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꼽힐 수 있는것이 테슬라코일의 공진주파수 측정이라 할 수 있겠다. 기본적으로 몇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겠으나, 측정의 간편함때문에 국내외 SSTC제작자들에 있어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한 공진주파수 측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듯 하다. 하지만 오실로스코프는 상당히 단가가 센 장비에 속하여(요근래 알아보니 쓸만한 중고제품도 10만원선에서 시작한다), 나와 같은 테슬라코일 입문자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이를 구비하고 있지 못하다.(사실 나는 작은 오실로스코프가 있긴 하나 그 측정대역이 내가 만들고자 하는 SSTC의 주파수범위를 벗어나 다른 방법을 강구했어야 했다.) 운용가능한 주파수대역.. 2022.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