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5 [STM32F103] CDC통신을 통한 정수형데이터 전송 TIP https://blog.naver.com/dongjungim20/221797799151 에 나오는 기본 설정을 따르면 됩니다. ADC등을 이용하는 경우, 정수 및 실수형 데이터를 PC와 통신을 통하여 확인할 필요가 생깁니다. 이러한 경우, 정수형 데이터를 문자열 형식으로 변환한 후 CDC통신을 통하여 PC의 시리얼 통신 도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sprintf함수가 정수형을 문자열로 바꿔주는 함수 이며, strcat함수는 문자열 덧붙이기 함수입니다. 줄바꿈문자 \r\n을 덧붙입니다. 2022. 2. 19. [stm32f103f8][공유] STM32F사용중 ST-Link V2 타겟보드 인식 불가현상 해결법 https://blog.naver.com/crucian2k3/221533654464 2022. 2. 19. [STM32F103C8] PWM-주파수, Duty 변화 PWM제어는 펄스폭을 제어하여, 모터의 RPM이나 LED의 밝기를 제어하는데에 의의가 있습니다. 따라서,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펄스폭을 유동적으로 변하게 하는것이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UBEMX의 초기 설정 이후, truestudio 코드 내에서 듀티비와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기본 설정은 이전의 포스팅과 동일한 상태입니다. https://blog.naver.com/dongjungim20/221801142700 [STM32F103C8] Basic PWM 펄스폭과 주파수를 cubemx를 통해 설정하는 pwm 기본코드를 살펴보겠습니다. RCC-HSE-... blog.naver.com 우선 듀티사이클을 결정하는 pulse의 값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CCR레지스터에 접근하여 그 값.. 2022. 2. 19. [STM32F103C8] Basic PWM 펄스폭과 주파수를 cubemx를 통해 설정하는 pwm 기본코드를 살펴보겠습니다. RCC-HSE-Crystal SYS-Serual wire Timer2 - channel1- pwm generation CH1 parameter setting 아래 clock configuration을 보면, 타이머로 흘러들어가는 클럭은 8mhz입니다.(APB1) 1)Prescaler value 라는 것은, 8mhz란 큰 주파수를 적당한 값으로 나누어 사용하려는 용도로 쓰입니다. 분주기의 척도입니다. prescaler을 8로 설정했다면, 우리가 사용하는 클럭은 1mhz입니다. 즉 1/1000000의 초마다 클럭이 들어옵니다. 2)counter mode를 up으로 설정하였습니다. 클럭이 1들어올때마다 CNT(Counter)값이 .. 2022. 2. 19. 이전 1 2 3 4 5 6 7 8 ···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