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5

광통신회로 2022. 2. 18.
DRSSTC1- 시험 구동 및 음악변조(musical DRSSTC) https://blog.naver.com/dongjungim20/221322849580 제작에 있어 여러 애로사항들이 많아 진행에 차질을 빚었었습니다. 납땜불량으로 인해 접촉불량이 나서 시간도 엄청 허비하고.. 거의 한달동안 진전이 없었네요 =ㅅ= 지금은 어느정도 해결되었기에 이제서야 시험구동을 해보았습니다. 테스트 도중. 구형CT 1:40정도의 변류비를 가집니다. 이것을 사용했을때, 투입전력이 커지면 클램프회로에 부담이 가는지 드라이버회로에서 소비하는 전력이 갑작스레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했습니다. CT2.. 대략 1:1000의 변류비를 가지고 이를 이용할 시, 이상동작현상이 대부분 해결되었습니다. DRSSTC회로 전체. 사용한 드라이버회로에서 한가지 불편한 점이 있는데 처음 스타트가 잘 걸리지 않을때가.. 2022. 2. 16.
various DRSSTC driver circuit 가장 기본이 되는 DRSSTC회로도. 추가) TINY TESLA COIL의 회로. DRSSTC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D 플립플롭을 이용한 파트가 없음. pdf 파일 추가 2022. 2. 16.
various fiber optic communication circuit 2022. 2. 16.
DRSSTC1제작기-1차공진회로 시험과 위상앞섬(phase lead) 학교생활을 하니 뭘 많이는 하는것같은데 포스팅은 안하게 되네요.. 요근래 1차공진회로와 광통신회로를 붙잡고 있는데, 1차공진회로는 어느정도 정리가 되었기에 포스팅을 해봅니다. 알려져있듯 DRSSTC는 이중공진 반도체테슬라코일의 약자로, 공진회로를 2개 가집니다. 1차코일과 MMC로 구성되는 1차공진회로, 2차코일과 대지 및 트로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커패시턴스가 이루는 2차공진회로가 그것입니다. 일반적인 SSTC와는 다르게 두 공진회로의 주파수를 맞춰주는 작업이 까다롭기는 하나, 리액턴스가 작아지게 되어 훨씬 더 강력한 스트리머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다른 포스팅에 올린 회로도를 보면, 1차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current transformer을 이용하여 샘플링한 후 드라이버회로에 피드백시키게 됩니다. .. 2022. 2. 16.
DRSSTC1제작기-몸체 구성 및 배치 2차코일의 공진주파수는 코일의 높이나 주변 배치상황에 따라 미세하게 변화하기때문에 DRSSTC제작을 위해 2차코일의 공진주파수를 측정해야할때에는 주변구성을 다 해놓은 상태에서 측정을 하는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였기에, 1차공진회로를 설계하기전 케이스를 제작하고 구성을 해놓았습니다. 현재는 IRFP460 2개를 이용한 하프브릿지로 전력부를 구성해놓았는데 여력이 된다면 IGBT를 이용한 풀브릿지까지 단계를 올려보고싶습니다. 2022. 2. 16.
MIDI회로 및 광통신 회로 제작 적외선발광, 수광LED부분은 광케이블이 도착하면 이를 이용하여 좀더 보강할 예정입니다. MIDI신호의 처리는 아두이노를 이용하였으며 현재 단음만을 처리(monophonic)할 수 있는 코드는 완성되었습니다. 차후 프로그래밍의 보강을 통해 AVR을 이용하여 2개음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것이 목표이며, polyphonic DRSSTC2대를 제작하여 총 4개의 음을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것을 최종적인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코드에 대해서는 완성되면 따로 포스팅하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dongjungim20/221300329814 2022. 2. 16.
간단한 광통신 수신부 회로 2022. 2. 16.
이베이발 RF FET 드라이버칩 도착 구매날짜가 1월 24일 오전 2시 50분.. 예상 도착날자의 범위가 2월 8일~3월 19일.. 실 도착월일은 4월 10일.. 잊고있으면 도착한다는 알리익스프레스도 이것보단 훨씬 빨랐는데, 아무리 무료배송이라 한들 너무한것 아님미까;; 위의 드라이버칩 완성품이 도착하지 않아 직접 FET드라이버회로를 만들어쓰면서 그래도 실력이 많이 늘은것 같습니다. 그래도 드라이버칩을 이용하면 현재 부피보다 획기적으로 크기를 줄일수 있을것같네요. 2022. 2. 16.
핵전쟁 감지기 Nuclear War Detector Being caught off guard by a nuclear war can be inconvenient. This project should alert the utterly unobservant individual to any significant nuclear exchange or radiation spill in the immediate vicinity, giving the owner time to kiss various body parts goodbye. The detector consists of a small ionization chamber as described above with the single Darlington transistor amplif.. 2022. 2. 16.
테슬라코일 스트리머의 직진성구현에 대한 고찰 우선 사진먼저 투척..! 오늘은 테슬라코일의 불꽃방전 모양에 의문을 가지고, 몇가지 실험을 해 보았습니다. 연속파모드로 작동하는 테슬라코일의 경우 주파수대역마다 스트리머의 모양에 다소간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수 메가헤르츠를 넘어가는 구동주파수를 가지는 고주파테슬라코일의 경우 스트리머 모양이 곧고 조용하며 스트리머에서 아크방전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습니다. 일반적인 테슬라코일의 경우-경계가 애매하긴 하지만, HFSSTC로 분류하지 않는 테슬라코일의 경우, 스트리머가 코일방향을 제외한 모든방향으로 퍼지며 나아갑니다. 아크방전의 비율이 낮고 코로나의 비율이 큽니다. 비교적 낮은 주파수로 구동하는 SSTC의 방사형 스트리머 (https://www.youtube.com/watch?v=Q_SV8QoHLQ0) 13.5.. 2022. 2. 16.
HFSSTC1 수리 기존에 제작했던 HFSSTC1의 모스펫이 너무 쉽게 고장나기에 여러부분을 손보았습니다. 우선 주요한 문제점은 전력부의 CLASS-E 파형이 너무 어긋나있다는것입니다. 이때문에 스위칭소자의 스트레스가 가중되었을것같고 소자파괴의 주요한 원인이었을듯 합니다. 단순히 공진콘덴서나 공진코일값의 변경으로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습니다. 하드와이어링으로 결선한 후 실험할 시에는 별 문제없이 작동하는것으로 미루어, 전력부의 배선을 너무 조잡하게 짠것이 원인이 아닐까 생각했고 이부분을 다시 제작하기로 했습니다. 기존에 이용하던 전력부의 CLASS-E 모듈입니다. 모스펫이 하도 터져 단자대에 탄 흔적이 보이네요.. 기판 아래 배선을 얇게, 또 서로 가까이 한것과 소켓을 너무 많이 사용한것이 부유용량 등의 예상치못한 변.. 2022. 2. 16.
ISSTC 최대출력 테스트 단속파변조 테슬라코일의 최대출력을 테스트했습니다. 사실 정말로 극한까지 장비를 밀어붙인건아니고..=ㅅ= 제가 생각하는 전압의 상한선까지 올려보았습니다. 쫄보거든요;; 이제 남은건 1단 공진회로를 설계하여 DRSSTC로 거듭나는 단계밖에 없겠습니다. 확실히 DRSSTC를 비롯한 일반적인 SSTC가 고주파테슬라코일보단 만지기 수월한것같네요. 혹 테슬라코일을 제작하고자하는 제작자가 있으면, HFSSTC는 나중프로젝트로 설정하는것이 훨씬 좋을거라 생각합니다. 인터럽트박스설계를 잘못한 탓인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케이스를 만지면 연속파 스트리머가 생깁니다. 아무래도 제 신체가 안테나역할을 하여 테슬라코일의 공진신호를 포착해 인터럽트신호와 겹쳐져, 혹은 대신 출력되는듯합니다. 문제는, 제가 드라이버회로를 설계할때 .. 2022. 2. 16.
[DRSSTC1 ]제작한 2차코일의 단속파 변조시험 몇일에 걸려 수작업으로 감은 코일이 완성됬습니다. 사실상 2차코일은 모터나 드릴을 이용하는 뭐든 사용하여 수작업을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어마어마한 작업량이 그 이유중 하나고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손으로 감다보니 불가피한 도선의 에나멜 손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적절한 권선기가 있으면 이것을 이용하는것이 극단적으로 현명한 선택입니다. 이번에 제작할 DRSSTC는 포터플로 제작하여 가방에 넣어가지고 다닐수 있도록 하기위해 2차코일크기가 백팩에 들어갈 정도입니다. 이정도 크기의 코일을 감는데도 넘나 고통스러운데, 대형테슬라코일을 수작업으로 감는 분, 예컨데 전달님이 어렸을때 그러하셨던것같습니다. 정말 경외스럽네요 이쁘고 반질반질합니다. 시험운행을 하기 위해 적절히 설비를 급조합니다. 이전에 사용했던 코일은 공진.. 2022. 2. 16.
가내수공업의 고통스러움 0.2밀리 에나멜선을 직경 60밀리 파이프에 감고있습니다. 느기적거리면서 감다보니 3일동안 감고 있습니다..=ㅅ= 눈도 빠질거같고 엄지손가락도 너무 아픕니다 드릴로 시험차 감아본 코일입니다. 드릴로 감으면 사용가능한 손이 1개로 줄고 속도가 너무 빨라 감기가 힘듭니다.. 어릴때 고압트랜스감을땐 잘 되었던것같은데 이건 힘드네요 2022. 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