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5 4MHZ급 고주파 테슬라코일 제작기-3: 4MHZ 소스의 선택 제가 만들 테슬라코일의 공진주파수는 4MHZ일것이며 어디선가 이 신호를 발생시키고 어떤 형태의 처리를 하여 1차코일로 입력해주어야 할 것입니다. RF전용소자까진 아니더라도 어느정도 주파수원을 충족시키는 한정된 소자를 이용해야만 합니다. 예컨데 CMOS칩인 CD4046이 아닌 74HC4046과 같은 소자를 이용해야하죠.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사용해오던 발진회로의 경우(NE555나 TL494정도가 있겠네요) 제가 사용하게 될 주파수대역을 충족시키지 못하기에 다른 소스를 찾아야만 했습니다. 이경우 다양한 함수발생원이 있을텐데요, 저같은경우 외국 제작자분들의 사례를 참고하여 몇가지로 분류를 해보기로 했습니다. 제가 참고하는 외국분들의 제작방식을 분류해놓은것으로 맨 아래의 PART3라 써진곳만 보시면 됩니다. 사실.. 2022. 2. 8. 테슬라코일에의 CLASS-E 전력증폭기의 적용과 이론 제가 이전 게시물부터 테슬라코일 관련 포스팅을 하며 많이 언급했던 단어가 있은데, CLASS E입니다. 아마 제가 만드는 테슬라코일회로의 주요한 부분이라 그마만큼 많이 언급되지 않았나 싶은데요, 사실 이 CLASS-E회로를 접하고 실험해본지는 저도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처음에는 그냥 회로도의 세팅을 따라하면 되겠지~싶었는데 막상 구성해보면 잘 되지 않고(사실 전혀되지 않았습니다 -_-) 삽질만 하는경우가 많아 이것에 대해 공부를 해볼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국내 자료는 거의 전무하다싶으나, 다행스럽게도 해외 테슬라코일 제작자 중 한명인 richie buffet 의 홈페이지에 테슬라코일과 연관지은 좋은 자료가 있어 이를 읽으며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이론적으로 공부를 좀 하고 자꾸 실험을 거듭하니 이전보다.. 2022. 2. 8. 4MHZ급 고주파 테슬라코일 제작기-2:코일감기 및 2차코일 공진주파수 측정 이번 포스팅의 제목이 '코일감기 및 2차코일 공진주파수 측정'이긴 하지만 애석하게도(..?) 코일감는장면은 없습니다ㅋㅋ 별로 중요한 내용도 아니거니와 수작업으로 감다보니 코일을 손에서 놓으면 다 풀어지게 되어 별도로 촬영하지 않았습니다. 일단 사용할 주파수가 4MHZ이므로 2차코일이 그와 동일한 공진주파수를 가져야합니다. richieburnett 의 경우 휴지심에 코일을 감았다고 하여 따라해보았습니다. 우선 흔히 사용하는 휴지심에 0.3MM코일로 그냥 다 감아놓고 공진주파수를 측정해보겠습니다. 참고로 일전에 포스팅한 https://blog.naver.com/dongjungim20/221166301030 의 오실로스코프 없이 공진주파수를 자동측정하는 테크닉은 HFSSTC의 코일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다소 .. 2022. 2. 8. 4MHZ급 고주파 테슬라코일 제작기-1:소개 꽤 오랜만에 글을 써보는것같습니다. 연구를 진행하며 진행상황을 글로 옮겨적는것이 본래 목적이었으나 실험이 원하는방향으로 잘 흘러가지 않으면 그걸 해결하려 고심하느라 글쓰는게 맘대로 되지 않네요. 그래서 이제부터라도 조금씩 지금까지 실험한 내용을 적어나가보려고 합니다. 우선..최종적인 목표는 4MHZ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HFSSTC를 최대효율로 구동하는것입니다. 제가 아는바로 국내에서 HFSSTC제작에 성공한 아마추어제작자는 블로그'무석이의 실험실'의 주인장인 전자의 달인님뿐입니다. 물론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연구된적이 있을수 있겠고(논문을 찾아보면 있을수 있겠네요) 제가 찾지 못한 아마추어제작자도 있을수 있겠으나, 적어도 제 사전조사에서 찾은 바로는 국내 제작성공사례는 극히 적고 당연히 초석이 될만한 .. 2022. 2. 8.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