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5

NE555를 만들어보자 2022. 2. 8.
직렬공진회로에서 전압상승과 테슬라코일에의 적용 테슬라코일이 LC공진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공심변압기라는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공진회로는 그 구성양상으로 두가지로 나뉘는데 직렬공진회로와 병렬공진회로이다. 일반적으로 테슬라코일의 2차 권선과 토로이드, 대지는 병렬공진회로를 이룬다. DRSSTC의 1차권선과 MMC는 직렬공진회로를 이룬다. 이처럼 테슬라코일에는 이 두가지가 적절히 혼합된 회로를 이룬다.(물론 테슬라코일의 종류나 회로에 따라 그 갯수나, 적용양상은 상이하다) 하지만 보통 테슬라코일 제작자가 신경써 제작하는 부분인 PRIMARY코일과 그 구동회로에는 직렬공진회로가 많이 이용되는듯하다(적어도 내가 아는 선에선..). 위에서 언급한 DRSSTC의 1차권선과 MMC이나 일반적인 HFSSTC의 심장격인 CLASS-E회로등이 그 예시가 되겠다.(물.. 2022. 2. 8.
Boost converter in '수능특강' 출처: 2017년도 수능특강 물리 2 내가 과거에 부스트컨버터를 만들며 관련 자료를 많이 읽어보았으나 당시에는 이해하지 못하고 단순히 따라만들기에 급급했었다. 고등학생이 되고 물리2를 공부하는데, 해당 내용을 보고 바로 부스트컨버터를 말하는 것인줄을 바로 깨달았다. 단순히 어렸을때는 회로도를 따라 만들기에 급급했고 그럴 능력도 모자랐을지로 모르지만, 이 자료와 여기엔 안나와있지만 수특에 부가적으로 나와있는 설명이 그 어떤 자료보다도 매끄럽고 받아들이기 편했다. 대수능이라는, 대한민국 최대의 이벤트라면 이벤트일 시험의 교과서급인 교재가 십수년간 다듬어져오며 낳은 결과물이니 어쩌면 당연할 수도 있겠으나,, 2022. 2. 8.
prepare for 4MHZ SSTC 내일부터 4MHZ HFSSTC제작을 본격적으로 시작할것같은데 오늘 몇가지 필요한 준비작업을 했습니다 일전에 제작한 74hc4046 기반의 PLL발진회로입니다. 일반적인 CD4046과는 다르게 입력전압이 7V정도가 최대더군요.. 4046이 PLL방식의 SSTC에서 상당히 대중적인 IC라 구글에서 쉽게 볼수 있는데요, 보통 CD4046을 이용한 회로고 때문에 입력전압이 12V라 나와있기에 아무 생각없이 7414에도 이 전원을 입력하면 IC가 파열됩니다.. CD4046은 CMOS칩이고 74HC4046은 TTL칩이기에 이러한 차이가 발생합니다. 같은 TTL계열의 7400,7414,74132등도 모두 전원을 5V로 사용하기에 불편하더라도 5V정전압원을 꾸며줘야합니다. 평소에는 그냥 브레드보드에 구성하고 실험했었는.. 2022.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