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5 SSTC회로작업 및 중간 테스트 브레드 보드에서 실험한 테슬라코일의 주요부분을 만능기판위에 옮겨보았습니다. 처음 설계할때 IC소켓을 넣지 않고 회로 설계 자체를 아예 잘못한 부분이 많아 오늘 수정하면서 굉장히 많은 점프가 생겼습니다.. 해결해야할 부분이 있긴 하지만 일단 정상작동하긴합니다. 납을 녹여 IC를 뽑아 내려 했으나 잘 되지 않아 니퍼로 그냥 다리를 잘라버리고 소켓을 다른 자리에 끼웠습니다. 그바람에 7414하고 전원안정용 콘덴서가 너무 가까이 있어 소켓에 IC가 딱 들어가지 않네요.. 시간나면 콘덴서를 옮기던가 해야겠습니다. 값싼 페놀기판은 구리부분이 쉽게 떼어져 수정할때 굉장히 취약한듯하네요. 현재 전원장치가 마땅치 않아 전력은 파워서플라이의 12V선을 이용했습니다. 브레드보드에 구성했을때보다 피드백 궤환도 훨씬 수월하게 .. 2022. 2. 7. 오실로스코프 없이 테슬라코일의 공진주파수 측정하기 해당 방식은 오실로스코프는 필요치 않으나 주파수카운터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SSTC를 제작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꼽힐 수 있는것이 테슬라코일의 공진주파수 측정이라 할 수 있겠다. 기본적으로 몇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겠으나, 측정의 간편함때문에 국내외 SSTC제작자들에 있어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한 공진주파수 측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듯 하다. 하지만 오실로스코프는 상당히 단가가 센 장비에 속하여(요근래 알아보니 쓸만한 중고제품도 10만원선에서 시작한다), 나와 같은 테슬라코일 입문자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이를 구비하고 있지 못하다.(사실 나는 작은 오실로스코프가 있긴 하나 그 측정대역이 내가 만들고자 하는 SSTC의 주파수범위를 벗어나 다른 방법을 강구했어야 했다.) 운용가능한 주파수대역.. 2022. 2. 7. PLL Chip(CD4046)을 이용한 Tesla coil CD4046 is pll(phase locked loop) chip. the main circuits is here 2022. 2. 7. Tesla coil theory 1. Solid State Tesla Coils and Their Uses( Sean Soleyman ) 2. 2022. 2. 7. 이전 1 ··· 23 24 25 26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