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제작중인 DRSSTC1에 사용할 하프브릿지모듈을 제작하여 실험해보았습니다.
게이트 드라이브 트랜스포머는 랜선을 꼬아 제작했으며 FET의 경우 IRFP460을 이용했습니다.
부가적으로 G-S, D-S사이에 TVS다이오드를 추가할 예정입니다.
드라이빙회로자체는 DRSSTC용도로 제작되어 ZCS을 위한 로직이 들어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피드백방식의 SSTC로 운용해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74HC4046 발진회로는 초기 피드백신호를 생성하여 테슬라코일의 첫 동작을 유도하는 역할로 넣었으며 궤환이 적절히 일어난 후에는 정지합니다.
interrupter의 경우 듀티사이클은 최대치인 4%로 맞추어놓았습니다.
어제 실험하다가 high side의 소자에서 폭발이 일어난 이후 소자 위에 플라스틱통을 씌우고 실험했습니다;;
하프브릿지라 버스전압을 많이 올려야하기에 더 긴장하게 됩니다.
이상한것이, 분명 FET 뒤쪽에서 폭발이 일어났는데 막상 테스터기로 FET을 테스트해보니 이상이 없습니다.
이해가 안가지만 뭐가 되었는 너무 다행이네요
안테나와 테슬라코일.
CT피드백이 노이즈가 덜 끼긴 하지만 귀찮기때문에 코일을 대충감아 안테나로 사용했습니다.
테슬라코일 공진기는 프로토타입테슬라코일을 실험할 당시 이용했던 코일을 이용했습니다. 당시 주파수를 측정했을때는 대략 1.5MHZ로 꽤 높았습니다. 다만 지금은 방치한지 상당히 오래되어 코일이 많이 풀어졌는데 주파수가 변했을것같습니다.
버스전압이 대략 140,150V정도 되었던것같습니다.
일단 스트리머가 거의 정전기수준인데..가장 주요한 문제점으로 듀티사이클이 극히 적은것이 문제가 되는것같습니다.
interrupter의 펌웨어를 수정하는것을 시도해봐야겠습니다.
하프브릿지발열은..방열판을 만졌을때 미적지근한정도입니다. 쥐눈만한 듀티사이클을 고려했을때 생각보다 발열이 크다고 생각했습니다.
실 제작시에 방열판을 필히 부착해야겠네요.
나머지부분은 잘 작동하는것같습니다. 피드백도 잘 잡히고..
내일은 2주째 미루고있는 코일 권선작업과 1차코일 매칭을 해야겠습니다.
피드백안테나 혹은 인터럽터의 알루미늄케이스를 인체나 가정전원의 접지라인에 접속하면 스트리머가 퍼버벅 하며 길어지고, 간혹 공진기의 정전용량을 조절하면 순간적으로 연속파형태의 스트리머가 나타났습니다.
아무래도 60HZ가 유입되며 QCW현상 혹은 유사한 것이 발생한것이 아닌가하는데 좀더 알아봐야겠습니다.
'Project > DRSS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내수공업의 고통스러움 (0) | 2022.02.16 |
---|---|
대전력 IGBT 모듈 획득 (0) | 2022.02.16 |
기준 주파수 발생기 제작 (0) | 2022.02.10 |
DRSSTC1-드라이빙회로 기판제작과 만능기판 레이아웃 (0) | 2022.02.10 |
DRSSTC1-전력부 드라이빙 회로 설계 및 실험 (0) | 2022.02.08 |